#아시아 증시 마감 및 유럽 증시 개장 상황
1.KOSPI 2,338.88 (-0.18%)
-북미 정상회담에 대한 기대감으로 외국인, 기관 동반 매수세에 힘입어 반등하며 장중 2350선 돌파. 하지만 방산, 철강주 중심 기관 매도세 지속되는 가운데, MSCI 신흥국 지수 내 중국 본토지수 편입비율 확대, 박스권 하단에 도달한 원/달러 환율의 영향에 外人 매도세 까지 유입되며 하락 전환해 약보합 마감
-美 대이란 원유 제재 복원과 OPEC 증산 합의 불발로 인한 국제 유가 급등에 SK이노베이션(+3.72%), GS(+0.73%), S-Oil(+0.36%) 등정유주 나란히 강세
-한국항공우주의 美공군 고등훈련기사업 입찰 탈락 여파에 한국항공우주(-5.27%), 한화에어로스페이스(-1.38%), LIG넥스원(-0.14%) 등방산株 하락
-中 국경절 황금연휴로 소비, 면세점 매출 증가 기대감이 확산되며 LG생활건강(+3.13%), 아모레퍼시픽(+3.26%), 코스맥스(3.82%) 등 中 관련 소비주 강세
-영풍제지(+5.49%), 신대양제지(+2.99%), 신풍제지(+2.68%) 등 제지 및 골판지 관련주, 업계 호황과 이익 개선 전망에 상승세
-업종별로 기계장비(+0.95%), 에너지화학(+0.20%) 등 상승한 반면, 방송통신(-1.54%), 철강(-1.21%), 운송(-0.97%) 등은 하락
-시가총액 상위종목 중 SK이노베이션(+3.72%), KB금융(+2.58%), SK하이닉스(+0.82%) 등 상승하였으나, 현대모비스(-3.07%), SK텔레콤(-2.30%), 셀트리온(-1.68%) 등은 하락
1)주체별 매매 동향
-외국인 480억 순매도
-기관 945억 순매도
-개인 1280억 순매수
2)상승률 상위 업종
-금융 (+1.30%)
-필수소비재 (+1.01%)
-기계장비 (+0.80%)
-건설 (+0.62%)
-에너지화학 (+0.33%)
3)하락률 상위 업종
-방송통신 (-2.57%)
-헬스케어 (-1.81%)
-자동차 (-1.36%)
-IT하드웨어 (-1.14%)
-운송 (-0.59%)
4)외국인 매수 상위(단위:억원)
-신라젠 345.84
-아모레퍼시픽 255.49
-LG화학 189.50
-삼성전자 186.68
-삼성전자우 91.16
5)외국인 매도 상위(단위:억원)
-한국항공우주 456.74
-삼성전기 371.61
-현대중공업 112.03
-삼성물산 106.63
-크리스에프앤씨 75.02
6)기관 매수 상위(단위:억원)
-삼성전자 431.59
-이마트 201.23
-SK이노베이션 134.56
-LG생활건강 126.14
-KT 124.16
7)기관 매도 상위(단위:억원)
-한국항공우주 490.01
-POSCO 259.95
-삼성전기 240.69
-삼화콘덴서 192.35
-포스코켐텍 153.69
2.일본 Nikkei225 24,245.76 (+0.52%)
-美금리 인상과 이탈리아 재정위기 우려로 달러 강세가 이어지자, 엔화가 약세로 기울며 수출 관련주 중심 매수세에 힘입어 상승출발. 장중 美-캐나다 NAFTA 재협상 타결 소식과 내일 예정된 日내각 개편으로 인한 경제정책 기대감 역시 투자심리를 자극하여 27년만에 최고점을 기록하며 상승 마감
3. 상해종합 2,821.35
-금일 휴장
4.유럽
-EUROSTOXX50 3,413.55pt(+0.34%)
-DAX 12,313.65pt(+0.0.55%)
-FTSE100 7,513.95pt(+0.05%)
-CAC40 5,505.98pt(+0.23%)
-전일 伊발 금융 불안으로 하락했던 유럽증시가 금일 NAFTA 협정을 대체해 USMCA 협정이 타결되면서 호조세를 보이며 상승 출발
.
.
'[마감시황] 아시아, 유럽 증권 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감시황) 美 매파정책으로 국채금리 4%육박 예정에 국제증시 악재 (0) | 2018.10.04 |
---|---|
(마감시황) 美의 이기적인 보호무역에 글로벌 증시 디커플링 확대, KOSPI 급락 (0) | 2018.10.02 |
(마감시황) MSCI EM 지수 변동에 中 증시 상승, 코스피 하락. 유럽증시 정치 이슈에 급락세 (0) | 2018.09.28 |
(마감시황) FOMC 금리인상에도 보험, 내수주 강세가 코스피 상승견인 (0) | 2018.09.27 |
(마감시황)무역분쟁 완화, 미국 국채금리 상승에 글로벌 증시 호재 (0) | 2018.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