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증시 마감 및 유럽 증시 개장 상황
1.KOSPI 2,343.07 (-0.52%)
-최근 코스피 단기 반등세가 강했지만 실적 모멘텀은 부재해 차익실현 매도 출현. 外人 현·선물 매도가 시총 상위주에 집중되어 하락 마감. MSCI 신흥국 지수에서 비중이 늘어난 中과 반대로 1% 줄어든 것이 外人 매물 출회 요인으로 작용
-SK텔레콤(+2.55%), ADT캡스 인수를 통한 시너지 효과와 CS 광중계기 수주 체결로 인한 기대감이 유입되는 가운데, 외국계 증권사(JP모건, 메릴린치, 맥쿼리 등)이 매수 거래원 상위에 오르며 상승
-18조 규모의 美 차기 APT(고등훈련기) 교체사업 기종 선정 탈락 소식에 한국항공우주(-29.80%), 한화에어로스페이스(-11.50%), LIG넥스원(-3.08%) 등 주요 방산株 대폭 하락
-업종별로 보험(+1.82%), 방송통신(+1.52%), 금융(+1.38%) 등 상승한 반면, IT하드웨어(-1.63%), 철강(-1.43%), 헬스케어(-1.36%) 등은 하락
-시가총액 상위종목 중 SK텔레콤(+2.55%), SK(+1.59%), KB금융(+0.93%) 등 상승하였으나, POSCO(-3.60%), SK하이닉스(-2.53%), 삼성전자(-2.21%) 등은 하락
1)주체별 매매 동향
-외국인 2128억 순매도
-기관 579억 순매수
-개인 1268억 순매수
2)상승률 상위 업종
-보험 (+1.82%)
-방송통신 (+1.52%)
-금융 (+1.38%)
-필수소비재 (+0.77%)
-에너지화학 (+0.72%)
3)하락률 상위 업종
-IT하드웨어 (-1.63%)
-철강 (-1.43%)
-헬스케어 (-1.36%)
-반도체 (-1.02%)
-기계장비 (-0.44%)
4)외국인 매수 상위(단위:억원)
-삼성엔지니어링 406.70
-삼성화재 242.70
-SK텔레콤 183.22
-SK이노베이션 164.51
-아모레퍼시픽 144.94
5)외국인 매도 상위(단위:억원)
-SK하이닉스 1156.37
-삼성전기 895.47
-삼성전자 710.55
-한국항공우주 442.87
-삼성바이오로직스 165.81
6)기관 매수 상위(단위:억원)
-삼성물산 199.09
-고려아연 198.49
-KT 167.71
-DB손해보험 112.99
-삼성바이오로직스 110.16
7)기관 매도 상위(단위:억원)
-삼성전자 594.98
-녹십자 438.17
-SK하이닉스 370.69
-롯데케미칼 231.39
-삼성SDI 163.60
2.일본 Nikkei225 24,120.04 (+1.36%)
-美 금리 인상, 견실한 美 경제지표, 뉴욕 증시 상승으로 인해 리스크 선호 심리가 커지며 나타난 엔저현상에 日 수출기업 실적 기대감 역시 확대되며 상승 출발. 美日 무역협정 논의 중 美가 日 자동차에 관세인상 조치를 발동하지 않는다는 소식에 기대감이 증폭되며 상승 마감
3. 상해종합 2,821.35 (+1.06%)
- MSCI 신흥 지수 편입에 이어 中 A주의 FTSE 러셀 신흥 지수 편입까지 결정되자, 최근 美中 무역분쟁으로 주춤한 中 증시에 대규모 신규 자금 유입 기대감이 확대되며 상승 마감
4.유럽
-EUROSTOXX50 3,421.55pt(-0.80%)
-DAX 12,335.53pt(-0.80%)
-FTSE100 7,537.25pt(-0.21%)
-CAC40 5,507.05pt(-0.60%)
-獨 메르켈 총리, 佛 마크롱 대통령의 지지율이 급락해 정치적 위기 상황에 봉착한 가운데, 英 또한 브렉시트를 앞두고 '노 딜 브렉시트' 우려가 확산되어 내부 갈등을 겪고 있음. 伊 정부마저 빚더미 속에 무리한 포퓰리즘 공약 이행을 위해 당초 계획보다 지출을 늘리기로 결정해 내·외적 갈등을 겪자 유럽증시 전반 대폭 하락 출발
'[마감시황] 아시아, 유럽 증권 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감시황) 美의 이기적인 보호무역에 글로벌 증시 디커플링 확대, KOSPI 급락 (0) | 2018.10.02 |
---|---|
(마감시황) NAFTA 재협상 타결(USMCA)에 글로벌 증시 훈풍, 코스피 약세 (0) | 2018.10.01 |
(마감시황) FOMC 금리인상에도 보험, 내수주 강세가 코스피 상승견인 (0) | 2018.09.27 |
(마감시황)무역분쟁 완화, 미국 국채금리 상승에 글로벌 증시 호재 (0) | 2018.09.21 |
(마감시황)남북정상회담 호전망, 삼성株 강세가 코스피 상승 주도 (0) | 2018.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