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증시 마감 및 유럽 증시 개장 상황
1.KOSPI 2,318.25 (+1.40%)
-美發 경기 훈풍과 기술주·반도체주 반등이 호재로 작용해 상승 출발. 글로벌 무역 리스크 완화 기류 보이는 가운데, 전기전자 업종에 外人, 기관 매수세 유입되어 상승폭 키우며 상승 마감
-9.13 부동산대책에 포함된 부동산대출 규제 강화 조항과, 향후 추가 대출 규제 가능성에 신한지주(-1.04%), 하나금융지주(-1.60%), KB금융(-2.11%) 등 금융업종 부진
-금일 文대통령이 내년부터 LNG연료 선박 중심으로 조선업 4차혁명을 위해 952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는 소식에 철강·금속 株 강세
-전일 美 물가상승 우려 완화된 가운데 헤지펀드 아팔루자가 반도체 업황에 긍정적으로 전망해 마이크론의 급등을 중심으로 美 반도체 업종이 강세를 보이자 삼성전자(+4.09%), SK하이닉스(+4.30%) 등 IT 대장주 반등
-업종별로 IT하드웨어(+2.41%), 증권(+2.27%), 필수소비재(+1.88%) 등 상승한 반면, 금융(-1.11%), IT소프트웨어(-0.57%), 방송통신(0.20%) 는 하락
-시가총액 상위종목 중 SK하이닉스(+4.30%), 삼성전자(+4.09%), 현대모비스(+2.49%) 등 상승하였으나, KB금융(-2.11%), 신한지주(-1.04%), 셀트리온(-0.85%) 등은 하락
1)주체별 매매 동향
-외국인 1935억 순매수
-기관 2633억 순매수
-개인 4838억 순매도
2)상승률 상위 업종
-IT하드웨어 (+2.41%)
-증권 (+2.27%)
-필수소비재 (+1.88%)
-운송 (+1.25%)
-반도체 (+1.01%)
3)하락률 상위 업종
-금융 (-1.11%)
-IT소프트웨어 (-0.57%)
-방송통신 (-0.20%)
-유틸리티 (-0.12%)
4)외국인 매수 상위(단위:억원)
-삼성전자 1224.32
-신라젠 260.24
-바이로메드 198.55
-에이치엘비 193.19
-SK하이닉스 182.10
5)외국인 매도 상위(단위:억원)
-POSCO 297.14
-신세계 150.11
-한국전력 119.27
-KB금융 113.39
-메디톡스 99.41
6)기관 매수 상위(단위:억원)
-삼성SDI 830.35
-SK하이닉스 415.36
-현대중공업 170.03
-현대차 168.23
-롯데케미칼 163.66
7)기관 매도 상위(단위:억원)
-우진아이엔에스 334.06
-LG유플러스 95,83
-LG전자 87.24
-컴투스 57.28
-휠라코리아 52.48
2.일본 Nikkei225 23,094.67 (+1.20%)
-터키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대폭 인상, 美 물가상승률 둔화로 인해 신흥국 통화 약세, 달러 강세가 이슈가 완화될 것으로 전망되자 투자심리 개선되어 상승 마감. 도쿄 외환시장에서 엔화 약세가 지속되어 수출주 중심 外人 매수세 유입된 것이 주가 상승 견인
3.상해종합 2,681.64 (-0.18%)
-美-中 무역협상 재개 기대감으로 인한 전일 상승세에 힘입어 강보합 출발하였으나, 양국 간 의견조율이 쉽지 않을 것이라 전망. 고정자산 투자 증가율이 95년 이후 최저 수준을 보이며 경제성장 동력 감소 우려되며 하락 전환해 약보합 마감
4.유럽
-EUROSTOXX50 3,343.95pt(+0.27%)
-DAX 12,096.69pt(+0.34%)
-FTSE100 7,302.66pt(+0.28%)
-CAC40 5,352.35pt(+0.43%)
-EU-美 車 관세 협상 예정인 가운데, 獨 5월 산업생산이 전월 대비 2.6% 증가하며 예상치 크게 상회했다는 소식으로 상승 출발
'[마감시황] 아시아, 유럽 증권 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감시황)美 관세부과에도, 中의 유동성 공급 재정 정책으로 아시아 증시 호조 (0) | 2018.09.18 |
---|---|
(마감시황) 미중 무역분쟁 재점화, 미국 증시를 포함한 글로벌 증시 악재 (0) | 2018.09.17 |
(마감시황) 골드만삭스 반도체 고점 논란에도 美-中 무역분쟁 해소 기류에 낙폭 제한 (0) | 2018.09.13 |
(마감시황) 국제유가상승 유럽증시 호조, 무역분쟁 심화 아시아증시 난조 (0) | 2018.09.12 |
(마감시황) 모건스탠리發 철강업종 악재가 KOSPI 하락 주도. 미중 무역분쟁 지속 (0) | 2018.09.11 |